top of page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01_메인.jpg

소통마루, 사람과 모여, 한옥의 구조를 담은 ​<연하재>

우리집에 찾아온 손님들과 차와 간식을 즐기며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여름에는 모기향 피워놓고 잠 잘수 있는 공간이면 더할나위 없겠죠.

위치|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지역지구|계획관리지역        층수|1층     

대지면적|576.00㎡     

건축면적|156.22㎡     

연면적|156.22㎡

Project : 2015

구성원| 부부2인

연령대|50대 초반

목적|단독주택, 전원주택, 한옥주택

연하재는 집앞에 배수로가 있으며, 넓은 밭이 펼져진 평야지대다.

의병장 운포 이달 장군을 기리는 ‘우산마을’

<연하재>가 있는 ‘우산마을’에는 특별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최강(崔堈) 등과 포위된 진주성 방어전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웠습니다. 이를 기리기 위해 ‘운포공원’이 조성되었지요. 오랜 과거부터 마을을 지켜오던 수호신을 기리는 ‘동신제’도 운포공원에 있습니다. 이곳은 마을주민의 휴식처이자 산책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넓은 평야과 소나무가 아름다운 땅

앞에는 멀리 펼쳐진 넓은 평야가 주는 탁 트인 시야에 마음이 시원해집니다. 뒤쪽으로는 소나무와 거목이 연하재를 포근하게 감싸고 있습니다. 나무를 따라 조성되어있는 도로는 천천히 드라이브하기 제격입니다.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04_전경 copy.jpg

Q. 연하재의 외관이 굉장히 독특한데요, 컨셉이 무엇인가요?

​‘한옥이면서, 한옥이 아닌 집’ 이에요. 건축주는 한옥 같은 집을 짓기를 원하셨죠. 하지만 한옥은 생각보다 불편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으로 갈 때, 높은 턱과 문지방을 넘어야 합니다. 거실이라는 중심공간이 없어, 거실중심으로 생활해오던 현대인에게는 익숙하지 않죠. 거기에 진짜 한옥처럼 지으려면 건축비용도 만만히 않습니다. 이러한 현실적이 이야기를 건축주께 전달해드렸더니, 충분히 이해하셨어요. 충분한 이야기를 통해서 대청마루, 나무 사용, 전통적인 느낌이 나는 집을 설계하도록 방향을 잡았습니다.

Q. 한옥이 본래 가지고 있는 특징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반영할 수 있나요?

연하재는 ‘ㄱ자한옥’을 차용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대청마루가 있다는 것입니다. 한옥에서 안방은 안주인이 사용하는 방으로 가장 폐쇄적인 공간입니다. 건넌방은 미혼의 자녀들이 머물거나, 혼인한 아들 부부가 기거하는 곳이었습니다. 안방 다음으로 폐쇄적인 공간이죠. 안방과 건넌방은 가장 사적인 공간입니다. <연하재>에서는 안방과 황토방을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게끔 설계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부엌의 위치입니다. 거실중심 생활을 하면서 부엌과 거실이 붙어있는 공간이 많아졌습니다. 부엌과 거실은 손님을 응대하는 공간이기도 하고요. 공적공간으로 초대된 손님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10_하늘마루 copy.jpg

Q. 가장 핵심적인 공간은 어디인가요?

대청마루의 역할을 하는 소통마루입니다. 이곳은 바람길, 햇빛길이 되기도 하고, 손님과 가족과 함께 이야기 나누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주방과 가깝게 두어 간편은 차와 간식을 들고 가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소통마루를 타고 흐르는 작은 툇마루는 마루의 생활범위를 더 넓혀줍니다.

이밖에도 손님을 대접할 수 있는 사랑방, 자녀를 위한 여분의 방, 안방이 있습니다. 서비스공간이라 할 수 있는 다락은 편의에 따라 방이나 창고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08_하늘마루 copy.jpg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07_하늘마루 copy.jpg

소통마루에서 여유로운 일상을 보낼 수 있다.

Q. 마당에 대해 말씀해주실 것이 있다고요.

A. 마당은 열린공간과 닫힌공간으로 구분됩니다. 열린공간은 집 앞쪽에 있는 바깥마당으로 지나가는 마을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연못이 있는 안마당은 초대된 손님이나, 가족끼리 바비큐파티를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마당이라고 해서 전체를 열면 사생활 보장이 되지 않아 불편함을 느낍니다. 반대로 지나치게 마당을 가둬두면 갑갑함을 느낄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마당에서도 열린 곳, 닫힌 곳을 구분하여 주었습니다.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05_전경 copy.jpg

마당에는 생태연못이 있다. 비가오는 날 물을 보더 흘려보내는 배수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

Q. 실내는 어떻게 꾸며졌나요?

실내에서도 한옥느낌이 날 수도록 나무를 많이 활용했습니다. 천장은 서까래 형태를 한 나무목재를 두었죠. 격자무늬의 미닫이 문도 있습니다.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12_실내 copy.jpg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14_실내.jpg
191031_홈페이지_연하재_13_실내.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