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퇴 후 살고 싶은 자연 속 약초 펜션 <미래촌팬션>
강원도 철원, 누구도 올 것 같지 않았던 조용한 마을에 약초를 좋아하는 한 사람이 자리 잡았습니다. 강아지가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넓은 마당과 직접 약초를 키우는 약초밭. 항상 손님으로 북적이는 미래촌팬션의 모습입니다.
위치|강원도 철원군 서면 자등리 지역지구|도시지역, 보존관리지역, 자연녹지지역
층수|지하1층, 지상1층 대지면적|1696.00㎡ 건축면적|125.26㎡ 연면적|179.49㎡
설계기간|2011-08-01~2012-02-28
시공기간|2011-04-19~2012-11-21
Project : 2012
구성원| 부부2인, 아들1인
연령대|50대 초반, 40대 후반, 20대 초반
목적|팬션, 수익형주택, 다가구
Q. 미래촌펜션이 있는 철원은 어떤 지역인가요?
A. 철원은 예부터 군부대가 많아 주말에 군부대면회를 위해 가족단위이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곳입니다. 철원시내를 중심으로 갈말읍과 고석정 주변, 동송읍, 김화읍에는 숙박시설이 많이 있지만 그 밖에 지역에는 드문편입니다. 삼방산 자락의 250m부근에 미래촌팬션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군부대면회객을 위해 펜션을 주거공간과 함께 운영하며 노후를 보낼 수 있겠다 생각하였습니다.
Q. 철원군 서면 자등리는 어떤 마을인가요?
A. 농사를 짓는 사람이 많고, 노인인구가 많은 전형적인 시골마을입니다. 산세가 아름답고 물이 맑아 항상 쾌적한 공기를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Q. 거주+펜션이 공간은 어떻게 구성되었나요?
A. 먼저, 지하1층은 건축주가 가족이 살아가는 공간,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원룸형 숙박공간을 마련했습니다. 많은 가족이 면회를 올 수도 있고, 여차하면 건축주 부부가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지상1층은 숙박객을 위한 원룸형 공간입니다. 총 3동으로 되어 있으며, 층수가 다르기때문에 건축주와 숙박객의 사생활을 서로 보호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습니다. 마당을 넓게 만들어 족구, 바베큐와 같은 야외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Q. 마당과 텃밭을 넓게 만든 이유가 있나요?
A. 건축주는 장기적으로 넓은 대지 위에 산야초 재배단지와 약초정원을 조성하여 슬로우푸드, 약초요법, 명상을 통한 마음치료 등을 할 수 있는 치유센터를 구상하고 있었습니다. 주변의 토지에 식물 재배하여 소득원을 개발하는 한편, 자연의 숲과 재배형 정원을 활용하여 향후 힐링리조트 운영할 수 있는 생활 기반 조성이 필요했습니다.
집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4면의 산과 600여 평의 들판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물이 자라는 자연의 동산을 중심으로 지역먹거리를 통한 생활을 영위하고자했습니다. 넓은 자연과 텃밭, 약초밭은 방문객에게도 새로운 풍경을 선물해줍니다.

1층처럼 보이는 팬션공간은 지하에 있는 건축주의 주거공간과 완벽하게 분리되어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


Q. 숙박객을 위한 팬션은 어떤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A. 원룸형 6평의 공간입니다. 취사를 할 수 있는 싱크대, 화장실 그리고 각 방마다 개별 테라스를 두었습니다. 테라스를 통해서 삼방산 자락과 넓게 펼쳐지 철원의 풍경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Q. 건축주를 위한 공간은 어떻게 마련되어 있나요?
A. 거실, 주방, 화장인, 안방, 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당과 팬션의 관리로 빠른 생활을 하는 건축주 부부를 위해 3인가족이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아기자기한 크기의 공간입니다.




바람길을 통한 실내자연환기와 햇빛길을 통한 실내소독 및 축열기능은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Q. 귀농귀촌을 위해 반드시 가져야 하는 마음가짐이 있을까요?
A. 몇 십년동안 익숙했던 공간에 외지인이 들어온다면 굉장히 낯설것입니다. 마을사람들에게 먼저 다가가고 베풀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미래촌팬션의 건축주는 50대 초반의 나이에 접어들어, 마을에서 가장 젊은 주민으로 철원의 새마을지도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할은 일주일에 한 번 철원군 전체 새마을지도자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실시하는 풀뽑기, 집수리공사, 정류장청소 등의 봉사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또한 총 53가구, 150여명 규모의 자등2리 총무로 마을의 대소경사를 주관하며 마을의 일꾼으로 활동합니다.
Q. 팬션사업을 하기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요?
첫째, 투자대비 효율을 정확하게 따져서 투자해야 하며 과잉투자는 손실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둘째, 관광지, 군인촌 등 특수목적의 관광방문지가 되어야 꾸준한 숙박 수요가 있습니다. 셋째, 가족체제로 운영하여 추가 인건비 지출이 없어야 수익이 확보됩니다.
Q. 집에서 살면서 달라진 것이 있다면요?
A. 부부는 “머리 쓰지 않고 몸 쓰고 살고 있어요”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현재 부인과 함께 펜션 청소를 하고 넓은 정원에 들꽃과 나무를 심으며 2년 뒤 실행할 힐링센터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에 전력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삼방산에 산양삼 밭을 조성하는 등 약초밭을 가꿉니다. 힐링센터 운영을 위해 약초와 산야초 공부도 꾸준히 하는 가운데 십수 년 전부터 해온 약초채취 산행도 계속하고 있습니다.
“자연은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는 보고입니다. 공기, 물, 음식, 약초 등 우리 집 주변의 자연을 먹고 마시며 명상과 최면 등의 심리치료를 통해 도시에 살면서 심신에 물든 오염의 찌꺼기를 녹여 내어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를 얻고 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본보기가 바로 오늘의 제 모습입니다.”